관련링크
본문
오늘은 암중에서도 분쟁이 가장많이 일어나고있는
경계성종양(난소경계성종양)보상에 대해
알려드릴까 합니다
난소경계성종양이란?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의 중간단계로
양성 또는 악성 중 어느 방향으로 진행될지 모르는
즉, 경계의 상태를 말합니다.
요즘 건강검진을 받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난소경계성종양과 같이
초기암을 미리 발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질환은 난소에 종양이 있어 검사를 했는데
양성은 아니나 악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어떻게 보면 악성인거 같기도 한
애매한 경우로
난소경계성종양 암보험금 청구시
보험사와 분쟁이 일어날
소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의사에 따라 이것을
어느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 때문에
난소경계성종양 암보험금 청구를 하면
보험사는 암이 아니라는 관점!
소비자는 암이라는 관점!
을 가지고 팽팽하게 다투는
암 진단비 분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때 일반인으로서
의료적 지식이나 보험약관이나
보험의 이해도가 낮기때문에
대부분 수긍하거나
콜센터에 전화해서 확인하는 정도로만 끝내고
보험금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이 질환이
보험사와 분쟁이 일어나는것이
코드D39.1 와
코드C56 일때 입니다.

실제C56이었던 환자가
난소경계성종양 보험금 청구를 했는데
의료자문을 통해D코드롸 변경해와
일부지급만 해주었다며 문의하여
재검토와 의학적 보험약관적 전문적인 자료로서
논리적으로 이의제기하여
전액지급받은 케이스가 있습니다.
난소경계성종양에 대해
D39.1로 진단받은 환자가
청구전 의뢰하여
보험상품, 가입일, 약관, 조직검사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악성으로 인정받아 전액 지급받은 사례도 있습니다.
일반인들은 의학적 보험적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보험사에서
경계성이므로 일부만
보상이 된다고 하면 대부분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며, 종결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난소경계성종양 진단 시 반드시
보험사 주장만 믿거나 이의제기를
하고싶어도 방법을 몰라 포기하지 마시고,
손해사정의 상담을 받아 보상 가능성 여부를
확실히 검토해보시기 바라며,조직검사 결과에
대해 다시 한번 눈여겨보셔야 할것입니다.
만약 보험금 분쟁으로 인해 고민을 하고 있다면
다년간의 승소 경험을 쌓은
손해사정제이에서 무료상담을 받아보세요.
축적된 경험과노하우를 통해
의뢰인에게 도움이 되는 법률자문을 해드리겠습니다